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Django
- 람다함수
- cerbot
- numpy
- 백엔드 인턴십
- Jar배포
- 집계함수
- Comprehension
- self
- 토이프로젝트
- EC2
- 파이썬
- 프로그래머스
- API
- yaml
- 코딩테스트
- 컴프리헨션
- sqlalchemy
- todo project
- 파이써닉코드
- 프리온보딩
- 행렬곱
- PYTHON
- mock server
- 조건연산
- spring boot
- RDS
- Postman
- 클래스
- 함수
- Today
- Total
build my life
[Python] 제어문 - 반복문(while문, for문) 본문
반복문
- 반복적으로 코드를 수행할 때 사용
진짜 많이 사용된다 반복문,,, 제대로 공부해둘 것!
1. while문
- 조건에 의해 반복문 실행
- 조건이 참일 경우 계속 반복하기 때문에 무한 반복 주의 => 조건문을 빠져나올 조건을 넣어주는게 중요
while(condition):
code context
예시) 3단 구구단을 출력해보자.
#3단 출력
n = 3
i = 1 #곱하는 수는 1씩 증가한다. 초기값 1
while (i<10): #i가 10보다 작을 때 까지만 반복한다.
print(f"{n} X {i} = {n*i}")
i += 1 # i = i + 1
n : 단을 의미 ex) 3단이니까 3을 입력
i : 초기값 1을 입력해준다.
설명)
- 조건 : i값이 10보다 작을 때까지만 아래의 코드를 실행한다.
- 출력문에 n = 3, i =1 값이 들어가 출력된다.
- 다음 반복을 진행하기 전 i에다가 1을 더해준다.
즉, n = 3 고정되고 i값만 1씩 더해져서 10보다 작을 때 까지만 반복이 실행된다.
#output
3 X 1 = 3
3 X 2 = 6
3 X 3 = 9
3 X 4 = 12
3 X 5 = 15
3 X 6 = 18
3 X 7 = 21
3 X 8 = 24
3 X 9 = 27
1.1 중첩 while문
i = 1
while i < 3:
print(f"{i}번째 바깥쪽")
i+=1
j=1
while j < 3:
print(f" {j}번째 안쪽")
j +=1
# output
1번째 바깥쪽 while문 입니다.
1번째 안쪽 while문 입니다.
2번째 안쪽 while문 입니다.
2번째 바깥쪽 while문 입니다.
1번째 안쪽 while문 입니다.
2번째 안쪽 while문 입니다.
2. for문
- 반복 가능(iterable)한 객체를 더이상 꺼낼 수 없을 때까지 반복
- 반복 가능한 객체 = list, tuple, set, dict, str ...
for <variable> in <iterable>:
conde context
예시)
lst = [1,2,3,4]
for item in lst:
print(item**2)
# output
1
4
9
16
❗ lst의 값을 하나씩 가져와 item에 넣어준다.
1번 반복 : item = 1 -> 1**2 = 1
2번 반복 : item = 2 -> 2**2 = 4
3번 반복 : item = 3 -> 3**3 = 9
2.1 range함수
- for문과 정말 많이 같이 자주 사용되는 함수
- 특정 구간의 숫자의 범위를 만들어준다.
- 형식 : range(start, end, step)
range(0,6)
# [0,1,2,3,4,5]
2.2 중첩 for문
- for문 공부할 때 가장 많이 하는 별찍기 예시로 해보겠다!
n = 5
for i in range(n):
for j in range(i+1):
print("*", end = "")
print() #줄바꿈
#output
*
**
***
****
*****
이렇게 반복문 안에 또 반복문을 작성해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.
반복문과 관련해서 반복문을 제어하는 break문과 continue문이 있다.
break문
- 더이상 반복하지말고 바로 반복문을 끝내는 문
for i in range(1,5): i = 1,2,3,4
if i == 3:
break
else:
print(i)
#output
1
2
=> i에 차례대로 1,2,3,4 값이 들어가는데 만약, i가 3이면 더이상 반복을 그만하고 빠져나온다!
continue문
- 반복을 끝내지 않고 continue 아래에 있는 문을 실행하지 않고 다음 반복을 시작하는 문
for i in range(1,5):
if i == 3:
continue
else:
print(i)
#output
1
2
4
=> i에 차례대로 1,2,3,4 값이 들어가는데 만약, i가 3이면 아래의 문을 실행하지 않고 바로 다음 반복으로 넘어간다.
그래서 3이 출력되지 않는 것이다.
정말정말정말정말 많이 쓰이는 제어문,,, 조건문,,, 반복문,,,
그래서 더 제대로 공부하고 익숙해져야하는 문인 것 같다!!!!
다음은 이 제어문들을 더욱 효율적이게 코딩하는 방법을 배운다!
enumerate,, zip,, comprehension,, 처음들어,,,ㅎ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] 함수 (0) | 2022.08.08 |
---|---|
[Python] 파이써닉코드(Pythonic code) : 삼항연산자, Comprehension, enumerate & zip (0) | 2022.08.04 |
[Python] 제어문 - 조건문(if) (0) | 2022.08.04 |
[Python] 문자열과 관련 메소드 (0) | 2022.08.04 |
[Python] 컬렉션 자료형(Collection data type) 관련 메소드 (0) | 2022.08.03 |